[選擇之道 선택지도 / 유권자가 대선 후보자를 잘 선택하는 방법]
5월12일 (월요일)부터 선거기간 개시일 입니다.
국민의 힘 후보자 선정 난항이 있었지만 결국 이재명,김문수,이준석 3파전으로 이번 대선은 치뤄 질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의 입장이라면 이제부터는 정치인맥주에서 공약에 의한 정치정책주에 관심을 가져야합니다만 보통의 유권자가 대선후보자를 잘 선택해야 하는 결정을 위한 마지막 체크 기간이기도 합니다.
1).정책과 공약을 꼼꼼히 비교하기
• 후보자의 정책 입장과 공약을 직접 확인하고, 자신의 가치관이나 사회적 관심사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 유권자들은 후보의 정책 선호가 후보자 선택에 독립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정책 중심 투표는 후보자나 정당이 제시한 공약이 자신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지,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선택하는 방식이다.
2).정당과 이념 성향 고려하기
•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이나 정치적 이념(진보/보수)과 후보의 소속 정당, 이념적 성향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실제로 많은 유권자들이 정당 일체감과 정치적 성향을 후보 선택의 기준으로 삼는다.
• 자신의 이념 성향(보수/진보)에 따라 후보를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연구도 있다.
3).후보자의 인물과 도덕성, 역량 평가하기
• 후보자의 개인적 자질(도덕성, 리더십, 경험, 신뢰성 등)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유권자들은 후보에 대한 호감, 이미지, 개인사 등도 함께 고려한다.
• 최근에는 후보의 기본적 가치관, 도덕성, 성격 특질 등이 정치적 태도와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심리학적 연구도 있다.
4).TV토론, 팩트체크, 언론보도 적극 활용하기
• TV토론은 후보자들의 정책, 정치적 역량, 인간적인 모습을 비교적 직접적으로 볼 수 있는 기회다. 실제로 많은 유권자들이 TV토론을 보고 후보를 결정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 언론의 팩트체크, 다양한 매체의 보도, 선거공보물 등도 후보의 정책과 자질을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
5).정책·이미지에 대한 투영 효과 경계하기
• 유권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후보에게 자신의 정책 입장을 투영하거나, 싫어하는 후보에게는 반대 입장을 투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인지적 편향을 경계하고, 객관적으로 정보를 확인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주요 고려사항 요약
• 정책과 공약의 실현 가능성 및 사회적 영향
• 후보자의 정당, 이념 성향과 자신의 가치관 일치 여부
• 후보자의 도덕성, 리더십, 경력 등 인물적 자질
• TV토론, 언론보도, 팩트체크 등 다양한 정보 채널 활용
• 자신의 선입견이나 감정적 판단에서 벗어나 객관적 정보 확인
<>결론
대통령 후보자를 잘 선택하려면 정책, 정당, 인물, 이념 등 여러 요소를 균형 있게 고려하고,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충분히 비교·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자신의 가치관과 사회의 미래를 함께 생각하며,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 選擇之道 선택지도>>
政約須從品細同 (정약수종품세동)
黨風先察理當崇 (당풍선찰리당숭)
德成玉質蒼生望 (덕성옥질창생망)
論映冰心大義功 (논영빙심대의공)
査驗須敎眞僞辨 (사험수교진위변)
襟期莫許愛憎衷 (금기막허애증충)
萬機俯仰憑誰手 (만기부앙빙수수)
鏡月孤懸一視公 (경월고현일시공)
정책 공약은 꼼꼼히 비교하여[政約須從品細同]
정당 이념은 이치에 맞는지 살펴야 하네[黨風先察理當崇]
덕성은 옥 같아 백성의 바람이요[德成玉質蒼生望]
토론은 맑은 마음으로 대의를 세우는 공[論映冰心大義功]
사실 검증으로 진위를 가리고[査驗須敎眞僞辨]
편애와 증오는 마음에 품지 말지어다[襟期莫許愛憎衷]
만 가지 일을 누구에게 맡길까[萬機俯仰憑誰手]
거울 같은 달 홀로 걸려 공정히 보리라[鏡月孤懸一視公]
'(자작)시,한시,서예,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月江畔小憩] - 仙文 [맑은 5월의 강가에서] (1) | 2025.05.14 |
---|---|
每日三成志 매일 세 가지 성취를 이루자 (0) | 2025.05.06 |
霧川晨景 (물안개 피는 화포천 아침)-仙文 (0) | 2025.04.30 |
暮春江畔閑行 모춘강반한행 - 仙文 (늦은 봄 강가에서 한가롭게 거닐다) (1) | 2025.04.28 |
한식의 매력 (8)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