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글씨는 아날로그 문명의 시작이며 낭만의 상징입니다.]

붓글씨는 동양이라면 펜글씨는 서양의 손글씨 도구의 대표라고 생각합니다.저는 2가지를 다 사용합니다.일단 필기감이 다르고 도구를 쥐는 법도 다릅니다.표현 능력도 다르죠.

 

소시적에는 비싼 만년필에 대한 로망이 있었지만 지금은 없습니다.그냥 글 잘쓰지고 튼튼하면 됩니다.고급 붓에 대한 것도 없습니다.그렇다고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이것도 어릴때 제법 비싼 붓을 사서 보관하고 있습니다만 가끔사용하게 됩니다.어머니들이 비싼 그릇은 잘 사용하지 않는 것과 비슷합니다.

 

인간에게 낭만이 없었다면 필경사나 캘리그라피도 없었겠죠.모두가 글씨 쓰는 재미를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손글씨는 아날로그 문명의 시작이며 낭만의 상징입니다.
붓글씨는 동양이라면 펜글씨는 서양의 손글씨 도구의 대표라고 생각합니다.
필기감이 다르고 도구를 쥐는 법도 다르고 표현 능력도 다르죠.
당신이 낭만이 있다면 글씨 쓰는 재미를 느끼게 됩니다.



 

筆墨開文明 (필묵개문명)
東西各風情 (동서각풍정)
握法雖有異 (압법수유이)
悠然見本眞 (유연견본진)

-仙文 金永漢



  1. 筆墨開文明 (필묵개문명)
    • 필묵: 붓과 먹
    • 개문명: 문명을 열다
    • 뜻: 붓과 먹으로 문명이 열리다.
    • 해석: 붓과 먹을 통해 문명이 시작되고 발전하였다는 의미입니다.
  2. 東西各風情 (동서각풍정)
    • 동서: 동쪽과 서쪽
    • 각풍정: 각각의 풍경과 정취
    • 뜻: 동쪽과 서쪽은 각각의 풍경과 정취가 있다.
    • 해석: 동양과 서양은 각기 다른 문화와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3. 握法雖有異 (압법수유이)
    • 압법: 붓을 잡는 방법
    • 수유이: 비록 다르다
    • 뜻: 붓을 잡는 방법은 비록 다르다.
    • 해석: 동양과 서양의 붓을 잡는 방법이 다를지라도, 그 본질은 같다는 의미입니다.
  4. 悠然見本眞 (유연견본진)
    • 유연: 여유롭게
    • 견본진: 본래의 참모습을 보다
    • 뜻: 여유롭게 본래의 참모습을 보다.
    • 해석: 서예를 통해 여유롭게 본래의 참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전체 해석: 붓과 먹을 통해 문명이 열리고, 동양과 서양은 각기 다른 문화와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붓을 잡는 방법은 다를지라도, 서예를 통해 여유롭게 본래의 참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자작)시,한시,서예,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졸업40주년기념  (0) 2023.11.05
가을날의 산책秋行/송宋 서기徐璣  (0) 2023.10.02
여름나기  (0) 2023.05.26
물아일체 운수낙조(物我一體 雲水落照)  (0) 2023.05.25
위양지 이팝나무꽃  (0) 2023.05.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