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승부>는 바둑의 전설 "창" 기풍의 조훈현과 그의 제자 "방패" 기풍의 이창호의 실화를 바탕으로, 스승과 제자의 치열한 승부와 내적 갈등, 그리고 각자의 스타일을 찾아가는 성장의 여정을 그린 작품입니다. 이 영화의 심리적 테마와 투자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요소 사이에는 여러 공통점을 생각해보았습니다.제눈에는 바둑이든 투자든 자기성찰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복기라고 봅니다.
1. 자기만의 길 찾기와 자기 확신
영화 "승부"에서는 이창호가 스승의 스타일을 모방하는 단계를 넘어, 자신만의 바둑을 두려움 없이 두기 시작할 때 진정한 승부사로 거듭납니다. 이는 타인의 조언이나 사회적 규범에 휘둘리지 않고, 자기 내면의 확신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 용기의 선언입니다. 주식투자 역시 남의 의견, 시장 소문,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만의 투자 원칙과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에서도 “정답”이란 없으며, 각자 자신만의 투자 철학과 방식을 찾아야만 흔들림 없이 시장을 대할 수 있습니다.
2. 감정 통제와 심리적 안정
영화 "승부"의 두 주인공은 승부의 세계에서 감정의 기복, 불안, 두려움, 오만 등 다양한 심리적 갈등을 겪으며 성장합니다. 특히 승패에 대한 집착과 슬럼프, 그리고 자기 성찰의 과정이 반복됩니다. 주식투자에서도 투자자의 감정(두려움, 탐욕, 후회 등)이 비합리적인 결정을 유발하며, 감정 통제와 심리적 안정이 성공 투자의 핵심으로 꼽힙니다. 투자에서 감정에 휘둘리면 계획을 무너뜨리고 실패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자기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관리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3. 복기(리뷰)와 자기 성찰
영화 "승부"에서 주인공들은 승패 이후 복기(리뷰)를 통해 자신의 실수와 성공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장합니다. 이는 단순히 승패를 넘어 과정에서 배우는 자세를 강조합니다. 주식투자에서도 투자 결과를 복기하며,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 자신의 투자 전략을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4. 확률과 심리전, 그리고 자기와의 싸움
바둑은 확률, 전략, 심리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게임입니다. 상대의 심리를 읽고, 자신의 스타일을 지키며, 때로는 불확실성을 감수해야 합니다. 주식투자 역시 확률과 심리전의 연속입니다. 시장(상대방)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만의 판단을 내려야 하며, 결국엔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5. 외부 영향과 자기 중심성
영화 "승부"에서 스승의 가르침, 사회적 기대, 주변의 시선 등 외부 영향에 흔들리는 과정이 그려집니다. 하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자기 내면의 목소리를 따르는 것임을 깨닫습니다. 주식투자도 주변의 정보, 뉴스, 타인의 조언에 쉽게 흔들릴 수 있지만, 자기만의 기준과 중심을 잡지 못하면 시장의 변동성에 휘둘려 손실을 볼 가능성이 커집니다.
<승부(勝負)와 투자(投資)의 심리(心理)를 노래하다> -仙文 金永漢
勝負投資理相通 (승부투자리상통) 승부와 투자 이치 서로 통하니
自信尋道貫始終 (자신심도관시종) 자신의 길 찾아 끝까지 관철하리
情波制心方得勝 (정파제심방득승) 감정의 파도 제어해야 이기나니
復碁反思是英雄 (복기반사시영웅) 복기하며 성찰함이 진정한 영웅
市場如棋觀變幻 (시장여기관변환) 시장은 바둑 같아 변함을 살피니
心理戰爭內自攻 (심리전쟁내자공) 심리전쟁은 내면과의 싸움이라
外擾不搖守定見 (외요불요수정견) 외부 소란에 흔들림 없이 굳건히
內修慧眼識眞龍 (내수혜안식진룡) 내면을 닦아 진리를 꿰뚫으리
'(자작)시,한시,서예,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내리는 곡우 지나 겹벚꽃, 유채꽃을 보다 (0) | 2025.04.22 |
---|---|
[나이들수록 홀로 자유로워져라] (0) | 2025.04.22 |
冬柏最後之禮 동백꽃의 마지막 인사 (0) | 2025.04.17 |
"폭싹 속았수다"의 촌지는 자식의 기를 살리려는 모정 (0) | 2025.04.15 |
悼沙南古宅 (뒤늦게 사남고택이 불탔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