獲中三矢 - 채제공
敬次御製訪花隨柳亭親射的 獲中三矢
대한민국이 엄청난 전투민족임을 파리올림픽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활,칼,총"에서 금메달 따고나니 정말 무서운 민족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자양궁 여자단체전 연속 금메달 우승이 10회 36년째이고,칼에서는 넘어진 상대방을 곧바로 찔러도 되는데 정중하게 일으켜 세우고 난 후 다시 찔러버리니 이런 여유로운 칼잡이가 있다니 놀랍습니다.
활과 관련된 한시를 찾아보니 채제공의 번암집(樊巖集) 권 1 방화수류정에서 정조가 친히 활을 쏘아 과녁에 세 발을 맞히고 내려 보여 준 어제시에 삼가 차운하다는 채제공의 한시가 보입니다.
정사년(1797, 정조21)〔敬次御製訪花隨柳亭親射的 獲中三矢 俯示韻 丁巳〕
용 깃발 나부끼고 버들가지 하늘하늘 / 披拂龍旗柳影斜
성안 가득 봄기운 완연하여 아름답고 / 滿城春氣鬱葱佳
군왕께서 정자 앞 곧추서서 활을 쏘니 / 君王正己亭前立
화살 꽂힌 붉은 과녁 꽃송이 다름없네 / 箭底紅心望若花
방화수류정은 화성 화홍문 위쪽의 성곽에 붙어 있는 각루(角樓)로 1794년(정조 18년) 건립됐다. ‘꽃을 찾고 버들을 따라 노닌다(訪花隨柳)’는 뜻의 방화수류정은 독특한 평면과 지붕형태로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경관도 달리 보인다. 주변을 감시하고 군사를 지휘하는 지휘소와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정자의 기능을 함께 지니고 있다. 북문인 장안문과 동문인 창룡문 사이에 있어 동북각루(東北角樓)로도 불린다.
방화수류정에 군왕을 상징하는 용 깃발이 나부끼고 3월 초순의 버들가지 하늘거리는 완연한 봄기운이 성안에 가득한 주변 경치의 아름다움을 읊었다. 여기에 정자 앞에서 활을 쏘는 정조의 모습이 더해지면 한 폭의 그림이 따로 없다.
특히 붉은 과녁에 촘촘히 꽂혀 있는 화살의 모습이 마치 활짝 핀 붉은 꽃처럼 보인다는 표현은 백미다. 붉은 과녁은 꽃잎이고 촘촘히 꽂힌 화살을 꽃 중앙에 모여 있는 꽃술로 묘사한 것이다.
『정조실록』은 이날 정조의 행차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그 가운데 방화수류정에서의 활쏘기와 관련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상이 성을 순행했다. 화양루(華陽樓) 북쪽에서 시작해 화서루(華西樓)를 지나 공심돈(空心墩)에 이르러 각신(閣臣)과 승지에게 이르기를 ”공심돈은 우리 동국(東國)의 성제(城制)에서는 처음 있는 것이다. 여러 신하들은 마음껏 구경하라“ 했다.
장안문(長安門)을 지나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에 이르러 조그만 과녁을 설치하고 임금이 화살 삼순(三巡)을 쏘아 삼시(三矢)를 맞힌 뒤 각신(閣臣)과 장신(將臣)에게 짝지어 활을 쏘라고 명했다.
상이 정자 아래에서 백성들이 꽉 둘러서서 구경하는 것을 보고 수원부 유수 조심태(趙心泰)에게 명해 그중에 활을 잘 쏘는 자를 뽑아서 활쏘기를 시험하게 한 다음 1등을 한 1인에게 바로 전시(殿試)를 볼 수 있는 자격을 주고 풍악을 내려서 보내었다. 여러 신하들에게 술을 내리고 임금이 칠언소시(七言小詩)를 지은 뒤 여러 신하들에게 화답해 올리라고 명했다.”
정조가 방화수류정에 행차했던 당시 채제공의 나이는 78세였다. 당시 채제공은 좌의정으로 정조를 수행했다. 체제공은 정조가 칠언소시를 지은 뒤 여러 신하들에게 화답해 올리라고 명한 데 따라 이를 차운해 이 시를 지었다.
- 채제공(蔡濟恭, 1720년5월 12일(음력 4월 6일) ~ 1799년2월 22일(음력 1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漢詩筆寫(한시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秋詞二首 - 劉禹錫(가을노래 - 유우석) (15) | 2024.09.01 |
---|---|
聽蟬(청선)/ 금수각서씨 -매미 소리를 들으며 (62) | 2024.08.11 |
尋僧(심승) 스님을 찾았더니 / 월사 이정구 (28) | 2024.07.27 |
연꽃구경 /곽예 (郭預) (2) | 2024.07.25 |
雨荷(우하) : 비 오는 날 연꽃 - 졸옹 최해 (2) | 202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