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상에서는 중용의 본질을 탐구합니다. 도올 선생님은 중용이 단순히 가운데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균형을 잡아가는 다이나믹한 과정임을 강조합니다. 중용은 개인의 도덕적 결정뿐만 아니라 정치와 사회 전반에서도 중요한 가치 역할을 수행합니다. 즉, 중용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고 변화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중용의 철학은 우리의 내면에서 시작되어 외부 세계와의 조화를 이루는 과정임을 이해하게 됩니다.

1. 🌟 중용의 본질과 오해

중용은 특정한 가운데에 서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무게중심을 잡아가는 과정이다.
중용은 직선의 가운데라는 개념이 아닌,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는 것이라고 한다.
주자는 '기'와 '리'라는 개념을 통해 중용을 설명하며, 이로 인해 성장한 철학 체계를 성리학이라고 한다.
Dynamic Equilibrium은 항상 변화하며 중심을 잡아야 함을 의미하며, 정치 또한 정적인 중간이 아닌 유연한 중심을 잡는 과정이 필요하다.
중용은 동양 철학에서 특정 시점과 상황에 맞는 행동을 의미하며, 지속적인 자기 반성과 변화를 필요로 하는 덕목이다.

2. 📜 중용과 대학의 관계 및 역사적 배경

중용과 대학은 같은 경전에서 파생된 형제 관계에 있으며, 이는 주자가 발견한 사실이다.
주자는 이들 챕터를 독립적으로 수록한 예기의 저자와 관련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불교의 영향을 언급한다.
당나라 시기 불교는 중국의 문명을 지배했으며, 이에 대한 반발로 유교적 이념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유학자들은 사서 운동을 통해 유교의 정통성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며, 공자와 맹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구성된 경전들을 활용했다.
대학은 개인의 성찰을 통해 사회를 평화롭게 만드는 과정에 관한 철학적 도식을 담고 있으며, 주자에게는 인생의 최고의 기쁨으로 여겨진다.

3. 📖 중용의 철학과 그 이해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은 주자에 의해 정리된 사서로, 중국 고대 경전의 개념은 조선시대와는 다르다.
주자는 경전의 주석을 달아 매우 독특한 철학적 해석을 제공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서 집주는 동아시아에서 700년 동안 영향력을 미쳤다.
중용은 사상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심오한 주제로,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그 주제가 인간의 본성과 하늘의 명령과 관련되어 있다.
중용의 핵심은 명령에 따라 나의 본성을 이루어 나가는 것으로, 이를 통해 다이나믹한 균형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국 중용은 인간의 목표이자, 역사와 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관의 기준이 된다.

4. 🧘‍♂️ 중용의 가르침과 그 적용

도는 동방 사상에서 모든 것의 길을 의미하며, 우리의 삶에서 절대로 떠날 수 없는 중요한 개념이다.
중용의 가르침은 다이나믹한 세상 속에서 균형을 찾는 능력이며, 이를 통해 거시적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안목이 필요하다.
중용은 어려운 공부와 수련을 통해 익힐 수 있으며, 군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개선하고 두려워할 줄 알아야 한다.
개인의 감정이 기울어진 상황은 적절한 위치에 있지 않음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자신의 중심을 잡아야 한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
중용의 가르침은 단순한 개인의 해탈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함께하는 사회적 해탈을 강조한다.

4.1. ️ 도의 개념과 그 중요성
도는 동방 사상에서 모든 것의 길을 의미하며, 궁극의 깨달음을 추구하는 방향이다.
태권도와 같이 특정 활동을 통해 도를 실천할 수 있으며, 이는 그 행위가 도를 통할 때만 가능하다.
도는 우리의 삶에서 항상 함께해야 하며, 단 한 순간도 떠날 수 없는 존재이다.
만약 어떤 것이 도에서 떠날 수 있다면, 그것은 진정한 도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4.2. 중용과 다이나미즘의 관계
중용의 가르침은 세상을 다이나믹하게 만들고 균형을 찾는 역할을 포함한다.
중심 잡아주기와 기울어진 세상에서의 적절한 위치 선정이 중용의 핵심 질문이라고 할 수 있다.
중용은 단순히 개인의 위치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인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볼 때 중요해진다.
다이나미즘은 이러한 넓은 안목을 통해 원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3. 중용의 실천과 군자의 자세
중용을 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부가 필요하고, 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관찰이 요구된다.
중용의 덕을 실천하기는 쉽지 않으며, 군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신을 개선하며 두려워해야 한다.
자신의 잘못이 타인에게 드러나지 않더라도, 질서를 배우고 자신을 돌아보아야 한다.
하늘의 뜻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사소하고 미세한 것 안에 깊은 진리가 숨겨져 있음이 강조된다.
군자는 홀로 있을 때 자신을 삼가하고, 내면에서 항상 조심하며 도를 지켜야 한다는 가르침이 중요하다.

4.4. 중용과 감정의 관계
희로애락(기쁨, 분노, 사랑, 슬픔)의 순결한 상태가 중으로 적용된다는 주장을 한다. 이는 감정이 발현되기 전의 순수한 상태가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화는 천하의 대본이자 달성해야 할 도로 여겨지며, 이는 균형과 조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감정이 치우쳐진 경우, 이는 자신이 적절한 포지션에 놓이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화가 느껴지는 순간은 자신의 위치가 부적절하다는 것을 암시하며, 이는 감정 자체가 객관적인 판단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중용의 상태에서 벗어난 감정은 자아를 재조명하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정의 본질을 성찰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한다.

4.5. 중용과 조선 왕조의 역사적 맥락
중용은 인간의 성장 과정으로, 발달 단계에서 중용적인 인간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중용은 사회적 해탈의 과정으로, 모든 인간에게 요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조선 왕조는 중용을 중요시하면서도 당파 싸움으로 물들었으며, 이는 국가 리더십의 실패 때문으로 추정된다.
조선 왕조 말기는 사회 구조가 붕괴되어 역사적으로 가장 부패한 시기로 여겨지며, 이로 인해 전통 문화에 대한 인식이 왜곡된 것으로 보인다.
위대한 정조와 같은 왕의 성품과 학식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치적 관점은 매우 제한적이었고 이는 주자학의 경직된 해석과 관련이 있다.

5. 📚 중용의 개념과 탐구의 중요성

주자학은 과거 시험 텍스트로 고정되어, 단순히 외우는 것으로 그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 문장을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이다.
중용은 절대 진리가 존재하지 않으며, 그때그때 균형을 맞추는 것이 진리라는 주장을 담고 있다.
인간의 욕망과 존재에 대한 질문은 진리의 탐구와 연결되며,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스스로의 무지를 인식하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려는 노력이 중요하며, 정기적으로 책을 읽고 영화를 보는 과정이 이를 돕는다.
중용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는 어려운 과정이지만, 여전히 깨달음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마치 구름 사이로 햇빛이 비치는 순간과 같다.



https://youtu.be/tC33rrKiVr8?si=Dtmx2FRc091gX0U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