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한글 심상 -> 한시 자작 - 글씨(붓펜,만년필]

시월에 핀 벚꽃
봄에는 벚꽃이 지고 나면 연초록 새잎이 나는데
시월에는 잎이 지는 가운데 벚꽃이 듬성 피었다
자연 조차 계절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철부진데
미쳐버린 인간들 많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
춘막앵비눌엽래 春幕櫻飛嫩葉來
시월낙목소화개 十月落木疏花開
자연우미식시서 自然猶未識時序
광중당연기괴재 狂衆當然豈怪哉



- 작시 노트
1. 제2구 마지막 글자 개(開)와 제4구 마지막 글자 재(哉)가 압운 규칙을 따릅니다.
2. 의역:
- 1행: "봄이 끝나 벚꽃은 날리고 연초록 잎이 오다"
→ 계절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묘사하며, 櫻(벚꽃)과 嫩葉(연한 잎)의 대비를 강조했습니다.
- 2행: "시월에 나뭇잎 떨어지니 듬성듬성 꽃이 피네"
→ 落木(낙목, 떨어진 나뭇잎)과 疏花(소화, 드문드문 핀 꽃)로 가을과 봄의 교차를 표현했습니다.
- 3행: "자연조차 철의 순서를 알지 못하니"
→ 猶未識(우미식, 아직 알지 못함)으로 자연의 혼란을 인격화했습니다.
- 4행: "미친 인간들이 많다면 어찌 괴이하리요?"
→ 豈怪哉(기괴재, 어찌 이상하겠는가)로 역설적 결론을 내며 사회적 풍자를 완성했습니다.
3. 한자 선택:
- 櫻(앵): 벚꽃을 고전적으로 지칭하는 한자어입니다.
- 疏花(소화): "듬성듬성 핀 꽃"을 함축적으로 표현했습니다.
- 狂衆(광중): "미쳐버린 인간들"을 경구(警句) 형식으로 압축했습니다.
이 시는 계절의 혼란을 통해 인간 사회의 부조리를 은유적으로 드러내는 구조로, 전통 한시의 기승전결을 의도적으로 해체하여 현대적 감각을 담았습니다.
'(자작)시,한시,서예,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내린 후 위양지 (0) | 2021.05.01 |
---|---|
그윽한 꽃 지천으로 따라 필테지만 (0) | 2021.02.21 |
태풍이 두번 지나간 자리에 핀꽃 (0) | 2020.09.13 |
믿음 없는 자 (0) | 2020.08.29 |
나의 스승일테니 (0) | 202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