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한시
성의 북쪽 은하사
층대에 달빛이 비친다
城北銀河寺(성북은하사)
層臺月色分(층대월색분)
<이학규, 기서림선정유탄이상인(寄西林仙正留坦二上人)>
#한자공부
* 풀이
신어산(神魚山)은 신령스러운 물고기 모양을 그린 쌍어문(雙魚紋)에서 그 이름이 기원했다고 하고, 이 쌍어문은 허왕후가 인도에서 파사탑(婆娑塔)과 함께 들여왔다고 한다. 이를 근거로 당시에 이미 불교가 한반도 남부에 들어왔다는 주장이 있기도 하다. 사실이야 어떻든 신어산은 많은 불교 전설을 안고 있으니, 불교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 느끼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증명이나 하듯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감로사(甘露寺)·금강사(金剛社)·구암사(龜庵寺)·십선사(十善寺)·청량사(淸 寺)·이세사 (離世寺) 등 신어산의 불교 사찰이 많이 언급되어 있는데, 전란에 무너지고 사라진 상황이 너무나 많아서였는지 은하사(銀河寺)에 대한 언급은 없다. 이에 대한 언급은 이학규(李學逵·1770~1835)가 읊은 다음의 시에서 잘 보인다.
'漢詩筆寫(한시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식, 제구암사(題龜巖寺) 재김해(在金海) (0) | 2023.08.10 |
---|---|
<이학규, 금주부성고적십이수 증이약소 청뢰각(金州府城古迹十二首 贈李躍沼, 晴䨓閣)> (1) | 2023.08.09 |
안축, 金海七點山(김해칠점산)> (0) | 2023.08.08 |
夏意 하의 : 여름날(여름의 맛) / 蘇舜欽 소순흠 (0) | 2023.08.08 |
장마(久雨)- 정약용(丁若鏞) (0) | 2023.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