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사람의 뱃속을 통과하고도 살았다면 그것은 스님의 신통력인가? 물고기의 신통력인가?]
- 언제 : 2006.7.15
- 날 씨 :국지성 소나기 있었지만 탐방시간엔 그냥 구름만
- 몇명:2명
- 어떻게:자가용 이용 오후 나들이
- 테마:문화유산답사
아침에 내리던 비가 멈췄지만 바람은 아직 멈추지 않았고 검은 구름은 정신없이 발길을 재촉하는 분위기다.쇳조각 굽는 지역답게 온통 철과 관련된 공장이 즐비한 포항의 산업단지를 지나며 이런 곳에 삼국유사에도 언급되는 사찰이 있다고 생각하니 선입관으로는 믿음이 별로 가지 않는다.
큰길이 끝나고 약간은 꼬불꼬불한 도로를 따라 도로 양옆을 보니 물고기와 관련된 음식점 보다는 날것과 다리 네발 달린 짐승의 몸으로 만든 음식들이 즐비하다.아마도 나의 상상력의 산물이겠지만 오어사의 중간글자인 물고기 어자를 보호하는 느낌이다.
닭,오리,돼지는 눈에 익었지만 이곳엔 토끼가 제물이 되었다.토끼탕이 자주 보이고 토끼탕에 옻을 넣은 옻토끼도 보인다.물고기,거북이(사실 남생이 겠지만) 방생하는 사찰에 거짓으로 용왕과 거북이를 속인 토끼가 이곳 지역주민의 제물이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동화에서도 살아남았는데 현실에서는 못 살아남은 것 같다. 이쯤되면 내가 생각해도 유치하게 돌아가는 내 머릿속이 궁금해지며 입가엔 내가 나를 비웃는다.
약간 오르막 댐을 지나니 호수가 보인다.이곳이 오어지(吾魚池)다.오(吾)자를 보니 다섯 오(五)도 아니요 사찰과 관련있는 깨달음 오(悟)자도 아닌 나 오(吾)자다. "내 물고기"라는 의미이고 보면 과연 누구의 물고기가 노니는 못일까?
춤 한번 추고 마음을 서서히 가라앉힐 즈음 물 위에 몸을 띠운 어린이 같은 모습의 오어사가 보인다.
한폭의 그림이 보이는 사찰이다.좌측엔 호수이고 뒷편과 우측은 산이다.그래서 호수와 산이라는 태극의 중간 경계선에 있는 절이다.그래서 산사라고 하기엔 호수가 시샘 할 것 같아 그냥 사찰이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
오어사라는 이름이 생겨난 일화는 삼국유사 이혜동진(二惠同塵)편에 나와 있다. 책의 내용과 내가 상상하는 부분을 합성하여 상상해보면 어느날 혜공이 원효가 있는 원효암에 놀러왔고 원효는 원효암 아래 계곡에서 물고기를 잡아(이때는 물고기 잡을 어-漁- 맞겠다.) 술도 한잔하며 노닐다 계곡 위 바위에서 서로 얼굴만 내리고 서로 똥을 쌌다.아마도 서로 마주보며 낄낄거리며 시원하게 용변을 봤을 것이다.먼저 혜공이 말하길 니 것은 똥, 내것은 물고기 일세.그래서 오어사이다. 이렇게 말하면 너무 밋밋하니 혜공과 원효가 물고기를 잡아 먹고 똥을 쌌는데, 그 중 하나가 물고기로 변해서 유유하게 헤엄쳐 갔고, 물고기를 보고 서로 자기가 싼 똥이라고....오어! 그래서 오어사가 되었다.
원효가 경전을 읽고 주석을 달고 책을 쓸 때 원효는 궁금한 것이 있으면 혜공을 찾았다고 한다.원효의 스승이 혜공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아무래도 원효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혜공에 대해서는 전설만 있다.기록은 기억을 지배하는 법이니,한분은 기록이 있고 한분은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원효가 복성거사(卜性居士),소성거사(小性居士)라는 이름으로 세상의 골짜기(俗)로 내려 온 것은 혜공의 영향력이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특히 복성의 복(卜)자는 아래 하(下)자의 아래 있다는 뜻이 아닌가.그렇다면 워낙 낮게 위치하다보니 별로 쓸모 없는 하찮은 것이고,그래서 거리낄것이 없는 단계까지 갔다는 의미로 보면 또다른 이름인 무애거사라고 자처하기도 한 것은 우연일까? "무애박"이니 무애거사니 하는 것은 글자 그대로 아무 거리낌 없이 살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즉,그것은 바람이 흐르듯 자유롭게 풍류를 즐기겠다는 뜻이었다.그렇게만 보면 원효는 별 볼일없는 분이다.그러나 아래쪽 만이 아니라 위쪽으로도 거칠 것 없는 분이기 때문에 원효가 대단한 것이다.솔직히 아무나 공주하고 잠자리 할 수 있나?
그도 아니라면 아마도 혜공이 잡은 물고기를 원효가 먹어 똥을 만들었다고 해석 할 수도 있다.즉, 혜공이 이미 풍류의 원조로 틀을 잡아 놓았는데 원효가 흉내내다가 풍류 바깥으로 드러나는 안 좋은 면만 보인다고 잔소리 한마디 한지도 모른다.
그리고 내가 보는 관점에서는 뱃속을 통과하고도 살았다면 그것은 스님의 신통력이 아니라 물고기의 신통력일 수도 있다.아마도 호수의 용왕 아들이 계곡상류로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해 오르다가 술 취한 땡중 두분(?)에게 잡아 먹히었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그래도 용왕의 아들이라서 재주를 부린 것으로 보인다. |
못이라고 보기보다 산상호수에 가까운 오어지(吾魚池)
뒷산때문에 더 아담해 보이는 오어사 내부.
대웅전의 모습,연꽃창살이 예사롭지 않고 우측 처마의 용머리는 이곳이 산(山)보다는 물에 가까운 곳이라는
느낌이다. 오어사 편액,활어횟집의 글씨처럼 글자 마무리 삐침이 위로 향하고 있다.살아있는 물고기가
수면위로 솟구치는 모습같은 힘찬 필법이다.지혜의 호수 속에 마음껏 유영하는 원효와 혜공을 보는 듯하다.
일주문,불이문,천왕문이 없는 것으로 보아 앞의 호수가 오어사의 마당인 모양이다.
아마도 일주문은 댐 아래에 있는데 내가 보지 못한 모양이다.^^*
문을 들어서면 바로 대웅전이 마주하고 대웅전을 중심으로 설선당,나한전,범종각,칠성각등이 아담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이곳에선 다른 것은 두고라도 대웅전과 동종을 보아야한다.대웅전은 조선 영조(1741)때
중건된 것으로 전면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꽃창살 문양이 아름답다.
그리고 범종루 옆에 유물 전시관이 있는데 그 안을 들여다보면 굳이 들어가지 않아도 볼 수 있는데 원효의
삿갓,목이 잘린 숟가락까지 보려면 귀찮아도 신발을 벗고 들어 갈 볼일이다.동종은 1995년도 오어지
준설작업중에 발견한 것으로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한다
오어사 내부로 나무들의 모습이 운치를 더한다.이럴때 불쑥 주위사람에게 "좋잖아 이 분위기!" 라고 말하면
보통 내가 무얼 두고 하는 말인지 몰라 주위를 살핀다.
원효암을 가기 위해 다리를 지나며 오어지의 상류를 지난다.이때 가장 높은 곳에 보이는 자장암이 조용한
절집에 온것 보다는 중국의 도교 사찰같은 곳에 온 느낌이다.아마도 원효와 혜공의 숨결이 깃든 지역이라서
풍류를 즐기기 좋은 곳에 암자가 있는 것은 아닐까?
오어사에서 600M정도 운제산 방향으로 계곡을 따라 오르면 원효암이 나타나다.워낙 숲이 우거져서
원효암 가는길은 밤길을 걷는 느낌이 들 정도이다.땀을 훔치고 작은 다리를 지나면 바로 원효암 관음전이
보이고 좌측에 따로 산신각이 보인다.원효암 관음전의 모습이며 우측 단청이 안된 것이 세로 지워진 원효암이다.
다시 하산하여 오어지가 보일즈음 오어사와 산위 자장암이 한눈에 들어온다.그 아래는 오어지이다.
오어사 무료 주차장 우측의 산길로 들면 오어사의 부도밭이 나온다.그 뒤로 쭉 다소 급한 경사로를 따라
150M 오르면 자장암이 나타난다.한곳은 절벽을 다리삼고 한곳은 나무기둥에 목발삼아 위험하게
서있는 모습이 특이하다.
제일 높은 건물 뒤에 보이는 몇그루의 나무 안쪽에 바로 부처의 진신사리가 모셔진 탑이 있는데
"세존진보탑"이라고 씌여있다.
제일 높은 건물인 자장암 내에도 불상이 있는데 그것에 기도를 하며, 절을 하면 자장암 뒤쪽의
세존진보탑에도 자동으로 예경하게 되므로 절집과 탑의 배치가 앞 뒤로 있는 듯 하지만 예경을
다소 효율적으로 하도록 자리를 잡고 있다.
아래에서 볼때는 경치 좋은 곳에 누각을 세운 줄 알았더니 그래도 부처님진신사리를 모셔
윗분에 대한 예의는 다 갖추고 있다.
자장암에서 내려다 본 오어사와 원효암을 가기 위한 다리가 보인다.
모든 것에 거리낌 없는 사람만이
한길로 생사의 번뇌를 벗어날 수 있으리. (一切無㝵人 一道出生死) 한 생각이 일어나면 갖가지 법이 일어나고 한 생각이 사라지면 온갖 법이 사라지는도다. -원효 |
원효만큼 극과 극을 달리는 인물도 더물것이다.와이프는 공주이지만 교화는 민중의 성자로
70년을 보낸 분이다.원효의 삶이 바로 반야심경의 축소판이다.반야심경을 줄이고 줄이면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아니겠는가?
━━━━━━━━━━━━━━━━━━━━━━━━━━━━━━━━━
잃어버린 낭만을 찾아가는 山中問答
風/流/山/行
'여행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릉도 해상관광)갈매기의 꿈은 어디로 (0) | 2008.01.31 |
---|---|
(한산도 제승당)기록은 기억을 지배한다. (0) | 2008.01.31 |
(자성대)가까운 곳에 있어서 더 갈 수 없었던 곳. (0) | 2008.01.31 |
(범어사)너무 가까워 놓치기 쉬운 귀한 것들을 찾아서 (0) | 2008.01.31 |
(산천재)남명조식 선생의 실천적 삶을 느낄 수 있는 (0) | 200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