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계국 끝물에 산수국이 피어났다
수국의 꽃말은 진심과 변덕이란다
상반된 두 가지 의미 중 진짜 몰라
시세를 대하는 트레이더 처지같다


위 짧은 글을 한시로 작시해보았습니다.

 

 

金鷄殘時繡球開 (금계잔시수국개)
花言眞心亦變乖 (화언진심역변괴)
雙意難分誰眞假 (쌍의난분수진가)
市情如似賈人懷 (시정여사고인회)

      1. 운율 구조 : 開(개), 乖(괴), 假(가), 懷(회)로 고전 한시의 '회운(灰韻)'을 차용하였습니다.
      2. 상징성 강화 : '變乖(변괴)'는 변덕을 유교적 관점에서 '도리를 벗어남'으로 풀이하며, '賈人(고인:장사하는 사람,트레이더의 의미)'은 시장의 이중성을 상징합니다.

대구법 응용 : 1-2구의 '金鷄-水菊', 3-4구의 '雙意-市情'이 자연과 인간 세상을 대비시키는 전통 한시 기법을 따릅니다.

역동적인 시장 심리를 꽃의 이중적 상징성에 빗대어 표현함으로써, 투자자의 복잡한 심리를 자연의 섭리로 승화시켰습니다.

 

'漢詩自作(한시자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나기  (0) 2023.05.26
언제나 즐거운  (0) 2021.07.17
창원 죽동마을 무논 메타세콰이어 도로  (0) 2021.05.30
금계국 파도 위로(2)  (0) 2021.05.29
즐거운 노매드랜드  (0) 2021.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