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용암사~오도산)사진출사,고적답사를 하며 발 닿는대로 걸으니 풍류휴가여행은 이런 것

 

 

- 언제 : 2012.8.6(월) 05:00~2012.8.9(목) 09:00
- 몇 명:  홀로
- 어떻게 : 자가SUV 이용

 

올해 군에 입대하는 아들과 고3 딸이 있어 가족과 함께 휴가를 가기 어렵게 되었다.결국 나 홀로 발 닿는대로 풍류여행을 다녀오고자 길을 나선다.특별히 어디를 간다는 계획은 없다.그러나 대략의 계획은 사진을 찍는 출사,문화유적을 찾는 고적답사에 풍광이 좋다면 간이등산도 하는 방식으로 선조들이 한번은 가봄직한 길과 요즘 각광받는 새로운 명소를 아우러는 여행길이 합쳐지니 말 그대로 풍류여행이 될 것이다.한가지가 아닌 서너가지를 한꺼번에 한국식 비빔밥처럼 섞어 놓은 여행이 바로 풍류휴가여행인 셈이다.

 

사내는 집이 세채는 있어야 하는데 첫째는 머무는 공간인 집이고 둘째는 이동하는 집인 자동차,그리고 사이버공간의 집인 홈페이지다.그 중 머무는 공간인 집과 홈페이지까지 쉬게 하니 휴가休暇는 휴가休家가 된 것이다.다만 현대판 말에 해당되는 이동수단인 자동차는 나의 여행길에 특별한 집이 될 것이다.

 

여행을 하다 해가지면 바로 그곳이 하룻밤 유숙할 장소가 될 것이니...3박을 하며 길을 따라 운전하다보니 1,200km를 달렸다.

 

2012.8.8(수) / 휴가 세째날 / 대체로 맑음

 

보통때보다는 1시간 늦잠을 잤다.6시다.

 

옥천 용암사(沃川 龍巖寺) /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 51-1

 

운해가 유명한 곳이다.금강이 이웃하고 있어서 옥천 용암사의 일출과 운해는
사진가들 사이에 유명해진지 오래다.

 

이미 일출을 놓친 상황이라 용암사의 마애불과 쌍삼층석탑을 보러간다.

장령산은 656M인데 체감적으로는 굉장히 높은 느낌이다.신라신대 마애불로
암벽의 색깔이 붉어서 흡사 채색을 한 것으로 보이게 만든다.

 

지붕의 바위는 검은빛이라서 색의 대비가 뚜렷하고 마애불 보존에도 도움이 되겠다.

신체의 부자유스런 모습이 눈에 들어오는데 이 불상은 신라의 마지막 태자인
마의태자가 조성했다는 전설이 있다.

 

마애불 위로 아직 달이 떠 있다.

 

 

 

 

용암사 동.서삼층석탑은 고려시대 작품이다.보통 쌍삼층석탑이라고 한다.
석탑의 위치로 볼때 산천비보풍수에 의해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산천비보사상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해도 쌍탑이라는 것은 유일하다는 점이 이채롭다.

 

 

전일 저녁에 잠시 보았던 옥천 청풍정은 김옥균과 기녀 명월과 관련이 있고,
청풍명월의 유래가 된 곳이라 하여 찾았는데 문이 잠겨져 있었다.

 

그래서 오늘은 부소담악(芙沼潭岳)으로 가기로 하였다.

 

부소담악/충북 옥천군 추소리

 

만약 네비로 입력한다면 "추소리"로 치면 근처 지명이 나온다.

옥천은 정지용 시인의 생가가 있고 "향수"가 나오고 향수의 내용은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라고
모두 알고 있다.딱 그곳과 어울리는 장소가 부소담악이 아닐까?

 

부소담악 이곳도 소금강이다.

“거유(巨儒)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소금강이라 예찬한 추소팔경 제일의
선경 부소담악(赴召潭岳)은 세월과 지형의 변화 속에서 그 자태 더욱 빛내어
청정고을 옥천의 자연을 더욱 아름답게 수놓는다”

소금강이란 빼어난 산세가 마치 금강산을 축소해 놓은 것 같다는 의미로
한 지역의 천하절경을 뜻한다.

 

추소리는 추동과 부소무니, 절골 등 3개의 자연마을이 있는 호반 마을로
이중 부소무니는 환산 밑에 연화부소형의 명당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 앞산은 부소무니 앞 물 위에 떠 있는 산이라 하여 부소담악이라 불리우고 있다.


 

 

 

 

 

 

부소담악 산행(?)을 해보니 추소秋紹가 의미하듯이 가을에 오면 좋겠다.
왜냐하면 부소담악은 병풍바위인데 병풍을 보려면 물이 좀 빠져야 한다.


그리고 가을 추秋자를 쓰는 이유는 두가지로 유추되는데, 물이 좀 빠지는 시기가 가을이고
또한 이곳은 소나무와 단풍나무가 많이 보였다.

 

대청댐 건설로 예전만 못하다고는 하여도 잘 알려지지 않은 절경이었다.
요즘 가물어서 바위를 볼 수 있었지만 강물은 짙은 녹조로 인하여 죽어가고 있었다.
22조를 들여 "녹색성장"을 한다고 하더니 4대강을 호소로 만들어 유속이 느려져
"녹조성장"을 부추긴 느낌이다.

 

 

충북에서 충남 금산으로 이동하였다.이젠 점차 남쪽으로 향한다.

 

적벽강/충남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


펜션이나 오토캠핑장 시설도 보이지만 입추가 하루지났지만 너무 더워서
잠시 머물다 바로 떠난다.

 

 

 

전라북도로 내려왔다.

 

안국사/전북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934

 

적상산에 있다.금산사 말사로 가는 도중 천일폭포를 볼 수 있다.
천일폭포의 명칭은 "하늘 아래 하나밖에 없다"는 의미라고 한다.

 

 

 

 

안국사 단청은 한귀퉁이만 단청이 안된 부분이 있다.

설화에 의하면 "천막을 치고 노인이 100일동안 단청을 하는데 안을 들여다보지 않아야 하는 약속을
어기고 99일째 되던 날 호기심이 극에 달한 스님이 안을 들여다본 순간 노인은 온데간데 없고
붓을 입에 문 학이 단청을 하고 있었고,그 학은 단청일을 하루치 남겨 놓고 날아 갔다는 것이다."

 

안국사는 학이 단청을 했다는 설화다.

 

어쨌던 믿거나 말거나 단청이 안된 부분이 남아 있다.

 

주련의 글자 중 둥글 원圓자 안에 잠자리 한 마리 잠자고 있고,
20여분 걸어 올라간 안렴대는 역사를 모르면 이 무더운 날 왜 올라간지 모를 장소다.

 

안렴대[ 按簾臺 , Allyeomdae ]

 

옛날 거란병이 쳐들어왔을 때 삼도 안렴사가 이곳에서 피난을 하였기 때문에
속세의 사람들이 이름을 붙인 것이다."라고 기록하였다.

 

『한국지명총람』에 의하면, 이 바위 안에 큰 석굴이 있으며,
고려 말 거란이 침입하였을 때 삼도 안렴사(三道 按簾使)가 이곳에 피난하였다 하여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무주를 거쳐 오도산 일몰과 일출을 보기 위하여 합천군 봉산면으로 향했다.

 

오도산/경남 합천군 묘산면

 

오도산은 운해가 멋진 곳이다.정상은 해발 1134M로 차량이 정상까지 오를 수 있다.
일몰은 별로였지만 일몰 후 보이는 회광반조가 그런대로 볼 만하였다.

 

 

 

 

올림픽 탁구경기를 보며 시원한 밤을 보냈다.

 

2012.8.9(목) / 휴가 네째날 / 대체로 맑음

 

오도산 일출을 맞이한다.
운해와 함께 멋진 일출을 보았다.

 

 

 

 

 

 

 

합천 화양리 야천신도비/경남 합천군 묘산면 화양리 산53-4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박소(1493∼1534) 선생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이 비석을 찾은 이유는 한호,즉 한석봉의 글씨를 새겨 비를 세웠기 때문이다.
선조 23년,1590년의 일이다.그런데 글씨가 너무 작아 아쉬웠다.

 

 

무더운 염천에 벼들은 잘 자라고 있다.그것이 고맙다.

 

 

 


━━━━━━━━━━━━━━━━━━━━━━━━━━━━━━━━━
달리는 바람처럼, 흐르는 물처럼
어진 산처럼,방랑의 은빛 달처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