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筆寫(한시필사)
秋日作(추일작) -鄭澈(정철)
세벗
2023. 10. 12. 10:14
#한시 秋日作(추일작) -鄭澈(정철) 山雨夜鳴竹(산우야명죽) 草蟲秋近床(초충추근상) 流年那可駐(유년나가주) 白髮不禁長(백발불금장) 가을날에 짓다 산 비는 밤중에 대나무를 울리고 풀벌레는 가을이라 침상에 가깝네. 흐르는 세월을 어찌 머물게 하랴! 백발 자라는 걸 견디지 못하겠네. #필사
#한자공부 * 秋日(추일) : 가을날, 가을. / 作(작) : 짓다. ※ 이 시는 제목이 ‘우야(雨夜)’로 된 판본도 있다. ‘雨夜’는 비 내리는 밤이라는 뜻이다. * 山雨(산우) : 산 비, 산에 내리는 비. / 夜(야) : 밤, 밤에. / 鳴竹(명죽) : 대나무를 울리다. * 草蟲(초충) : 풀벌레. / 秋(추) : 가을, 가을에. / 近床(근상) : 침상에 가깝다. 이 ‘近床’이 ‘입상(入床)’으로 된 판본도 있다. ‘入床’은 침상에 들어온다는 뜻이다. * 流年(유년) : 흐르는 세월. / 那可駐(나가주) : 어찌 머물게 할 수 있으랴, 어찌 머물게 하랴. * 白髮(백발) : 백발. / 不禁(불금) : 견디지 못하다, 감당하지 못하다. / 長(장) : 길다, 자라다. * 풀이 * 鄭澈(정철, 1536~1593) : 본관은 연일(延日)이고 자는 계함(季涵)이며 호는 송강(松江)이다. 임억령(林億齡)에게 시를 배우고 김인후(金麟厚)와 송순(宋純), 기대승(奇大升)에게 학문을 배웠다.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이 일어나자 우의정에 발탁되어 서인의 영수로서 최영경(崔永慶) 등을 다스리고 철저히 동인들을 추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