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개성은 틀린 것이 아니라 다름이며 두려움을 용기로 바꾼다면 백호대살해는 또 다른 기회의 해이다.

 

- 언제 : 2015.1.17  06:00~ 1.18 21:30
- 얼마나: 2015.1.17  12:00~1.18 17:20
- 날 씨 : 대체로 맑음
- 몇 명: 44명
- 어떻게 :고적답사회 동행/인솔:최영호 교수님


 부산→ 고산윤선도유물전시관(녹우당)→ 대흥사 호남식당(점심)→ 대흥사→ 땅끝마을→  우수영성지→
명랑대첩지(이상 해남군)→ 진도대교→ 진도유스호스텔(저녁,울금막걸리,1박)
/진도유스호스텔(일출,아침)→ 신비의 바닷길→ 진도 아리랑체험관→ 남도진성(쌍운교,단운교)→
배중손사당→ 전 왕온묘→ 버섯마을(진도홍주,점심)→ 운림산방→ 용장산성,용장사→ 이충무공전첩비→
진도타워(이상 진도군)→ 부산

 

 

 

남도로 답사를 간다는 것은 항상 설랜다.여행은 컨텐츠가 다양하고 볼거리,먹거리까지 풍성하다면 더할 나위없다.그런 점에서 남도 답사는 어느정도 안심이 되는 곳이다.부산에서 해남을 거쳐 진도로 가는 길은 400km의 길이다.왕복 800km이니 버스내에서 앉아 있을 시간이 많다.그래서 욕심내어 버스에서 읽을 책을 다섯권이나 가져갔다.4권은 완독했으니 800km 대장정의 시간도 허투루 보내지는 않았다.

 

해남의 고산윤선도유물전시관는 처음 가보았고 대흥사,땅끝마을은 이미 가본 경험이 있었다.두째날 운림산방과 진도타워는 7년전 동석산 산행을 하면서 가본 곳이지만 나머지는 초행길이다.해남과 진도 모두 두분 문화유산해설사님의 정력적인 해설과 해학 넘친 입담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

 

2015년 1월 중순에 떠나는 겨울답사는 이래저래 개인적으로 설레임과 두려움이 교차한다.2015년은 을미년으로 백호대살해이다.사주 명리학에서는 괴강(魁罡)과 백호대살(白虎大殺)이라는 신살(神煞)을 해석에 적용하는데 신살이란 여러 가지 운명적 압력을 발생시키는 인자를 말한다. 괴강의 작용은 극귀(極貴), 대부(大富), 극빈(極貧), 대재(大災) 등 극단의 기운을 만드는데 간지상 무술(戊戌), 경진(庚辰), 경술(庚戌), 임진(壬辰)이 된다. 또 백호대살이란 말 그대로 백호가 출현하여 갑작스러운 횡액, 죽음을 조장하는 기운으로 본다. 갑진(甲辰), 무진(戊辰), 병술(丙戌), 정축(丁丑),무진, 임술, 계축이 해당한다. 괴강이나 백호대살의 중복은 인간의 여러 행위에 극단을 조장하므로 운명적으로 해석할 때는 세심한 분석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한마디로 총칼을 가지고 있다는 뜻은 전쟁에서 무훈(武勳)을 크게 세울 수도 있지만 도리어 범죄를 저지르거나 자신이 다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을미는 큰 변화 가능성이 높은 백호대살 7가지 중 하나다.60갑자 60개 중 7개가 백호대살이다.7/60이니 확률적으로 11%이다.지나간 과거를 돌아보면 120년전 을미년은 을미왜변으로 명성왕후 시해사건이 있었고 가까운 시기 큰변화가 있었던 IMF시기가 정축년 백호대살해였다.

 

극단적인 모습을 보이는 괴강의 확율은  4/60이니 6.6%이다.지나간 과거를 돌아보면 경진년에 6.25전쟁이 일어났고 경술년은 경술국치일이라하여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긴 해였다. 임진년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해이다.여기에 당장 1월이 정축월로 백호대살달이다.4월은경진으로 괴강이며  10월은 병술로 백호대살달이다. 이렇게 올해는  백호대살과 괴강이 3번이나 들어있는 불측의 변화가능성이 높은 해이다.피하지 못할 일이라면 맞부딪힐 수밖에 없는데 내가 태어난 해가 갑진으로 백호대살해이니 어쩌면 경제전쟁에서 무훈을 세울 수도 있으리라 자신감을 가져본다.

 

백호대살해의 그 두려움을 용기로 바꾼다면 올해 역시 새로운 기회의 해가 될것이다.

 

 

 

(첫째날)

 

해남으로 가는 버스내에서 김밥으로 아침 식사를 하고 "조용헌의 백가기행2"를 읽으며 답사의 기분을 낸다.

 

논어의 제일 앞부분에 나오는 "학이시습지 불역열호"가 논어의 결론이다.
젊을때는 그다지 깊이 이해하지 못했는데 머리칼 희어지면서 이해가 된다.
호구지책에 대한 걱정이 가득한 시기라서 무거울 중重,중년(重年)인데,
중년의 나이에 책을 들여다보는 여유가 있다는 것은 이 세상와서 잘 살고 있다는 반증이다.
중년에 책 읽고 배움의 기쁨을 맛보는 것은 상팔자다.

 

논어는 나이가 들수록 그 깊이가 남다르다.뒷글자 모두 깊이 수긍이 간다.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낙호學而時習之 不亦悅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7시쯤 출발했는데 거의 정오가 다되어
고산윤선도유물전시관(녹우당)에 도착하였다.

 

 

고산윤선도유물전시관:전남 해남군 해남읍 녹우당길130


 

전시관에서는 윤선도의 오우가,공재 윤두서의 그림,동국진체의 녹우당 현판,윤두서 자화상,동국여지지도등이
전시되어 있었다.


특히 규한록
閨恨錄의 사연을 들으니 기가 막힌다.규한록의 저자 광주이씨는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8대 종손부(
宗孫婦)이다. 사대부 집안 규방(閨房) 여인의 애절한 사연을 여성의 감성으로 직접 엮어
나갔다는 것에 이 작품의 의의가 있다. 광주이씨 종부가 출가하여 3개월 만에 남편을 여의었다고 하지만
얼굴을 대면한 기간은 단 사흘밖에 안된다고 하니 기가 막히는 것이다.
규방에 갇혀 생활하는 절실한 아픔을 수기체로 적었는데 13M 두루마리 원본이 여기에 전시되어있다.

 

 

특히 해남에서는 동국진체를 자주 보게되었는데 "옥동 이서"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行狀曰 筆法亦深造, 其得力於樂毅論. 東國眞體, 實自玉洞始, 而尹恭齋,白下,圓嶠皆其餘體也.

동국의 진체는 옥동에서 시작되어 그 뒤에 공재 윤두서
, 백하 윤순, 원교 이광사가 모두 그의 그 뒤를
이어간 사람이다
.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에서)

유물전시관을 관람후 녹우당으로 올랐으나 문이 잠겨있고 공개를 하지 않아 외부만 둘러보고
아쉬움을 뒤로한채 내려왔다.
녹우당 뒷산은 비자림으로 겨울에도 푸른빛을 보여주었다.


 

 

 

 

대흥사 입구 근처 호남식당(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8-1)에서 점심식사를 하였다.
정갈한 한정식 밥과 반찬 하나하나가 모두 입을 즐겁게 하였다.반주로 아주 오랜만에
삼산막걸리를 마셨다.

 

 

 

 

 

○대흥사(: 국보 제242호)

대둔사(大芚寺)라고도 하며, 창건 시기는 다양. 임진왜란 이전에는 아직 대규모 사원의 면모를 갖추지
못하였다가 임진왜란 때 승병장 서산대사의 배려로 규모가 확장. 서산대사가 대흥사를 삼재가 들어오지
않는 곳으로 만세토록 파괴됨이 없는 곳이며, 종통의 소귀처로 보고 자신의 의발(衣鉢)을 맡긴 이후부터 사세 확장.

 
사원 입구에는 서산대사를 비롯한 여러 고승들의 부도와 부도비사 현존.

두륜산에서 흐르는 금당천을 경계로 남원과 북원 구역으로 구분. 북원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한 영역,
남원은 중앙부의 천불전, 서산의 유물이 있는 표충사, 다도로 유명한 초의(草衣)선사가 중건한
대광명전(大光明殿)을 중심으로 세 영역으로 구획. 표충사 구역에는 서산대사의 사당으로 서산․사명
등의 영정 봉안.

경내에는 조선시대 명필가들이 직접 쓴 글씨가 상당. 특히 대웅보전의 현판 글씨는 추사 김정희와
원교 이광사(李匡師)의 일화로 유명. 제주도로 귀양가던 추사가 대흥사에 들러 원교가 쓴 글씨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내리게 하였다가 귀양에서 돌아오며 다시 걸게 하고 자신이 쓴 현판을 내리게 함.
백설당에는 추사가 쓴 무량수각(無量壽閣)의 현판.

 

 

 

일주문 뒷편 현판을 보니 "선림교해만화도량(禪林敎海滿華道場)'.'선종이 숲을 이루고 교종이 바다를 메우니
모두가 어우러진 도량'이라는 뜻이다.서산대사는 '선가귀감"에서
'선(禪)은 부처님 마음이요, 교(敎)는 부처님
말씀'이라고 썼다.
서산대사 가르침대로 대흥사는 열세명의 큰 선승과 열세명의 큰 교학승을 배출하게 된다.

 

 

 

 

일주문을 지나 조금 들어가면 부도전이 있는데 중심 뒤쪽에 유독 작은 초록빛의 서산대사의 부도탑이 보이고
눈을 좌측으로 돌리니 초의선사의 부도탑도 보인다
.

 


 

 

 

동국진체의 해탈문을 지나니 부처님이 누워있는 형상의 두륜산이 보인다.왼쪽에서 우측으로 보면
고계봉은 부처님의 발, 노승봉은 부처님 왼손, 가련봉은 부처님 오른손 , 두륜봉이 부처님의 얼굴이다.
두륜봉은 630m로 최고봉 가련봉703m보다 낮지만 두륜산의 중심이름을 얻었다.
부처님의 얼굴에 두륜봉을 빼앗겨서 최고봉은 처지가 가련했을까? 이름도 가련봉이다.


 

 

 

역시 동국진체 대흥사 침계루 글씨 현판 왼쪽으로 재미있는 호랑이 그림이 있다.
네 다리는 밧줄에 묶여있지만 호랑이 표정만큼은 장난기가 가득하다.

꼬리를 낚시처럼 드리워 그 꼬리를 타고 올라오는 가재를 잡아먹다 스님에게 들키어
저렇게 매달려 있다는 설화도 재밌다.나의 직업이 금융 컨텐츠를 파는 프라이빗 뱅커(PB)라면
이미 사찰은 컨텐츠를 파는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침계루 현판 우측엔 당연히 가재가 그려져 있다.

 

 

 

 

 

침계루 안에 있는 대웅보전과 무량수각에 얽힌 완당 김정희와 원교 이광사의 얽힌 이야기는 워낙 유명하여
다소 식상한 감이 있지만 사람마다 개성이라는 것은 틀린 것이 아니라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니 곱씹어볼만하다.

 

대흥사 가허루(大興寺駕虛樓)는 "허공에 멍에 한 누각"이란  뜻으로 아래문턱을 보면 굽은 소나무를 사용하여
바닥에서 약간 뜬 모습을 볼 수 있다.글씨는 창암 이삼만의 글씨인데 뱀처럼 구불구불한 글씨가 아니라 정자를
썼고 그 안의 천불전 글씨는 행서로 원교 이광사 스승이 썼다.

 

한가지라도 더 알려주고 싶은 문화유산해설사님의 걸음걸이가 바쁘다.

 

 

 

 

마지막으로 둘러 본 곳은 표충사이다.글씨는 굉장히 수려하고도 힘찬 모습인데 정조임금의 어필이다.
어서각 글씨는 완당 김정희의 수제자 위당 신관호가 썼다.추사의 제자답게 추사체를 닮았다.

 

 

 

 

 

땅끝마을에 다시 서서 새로운 시작을 되새겨 보고 명량대첩지로 갔다.

 


 

 

 

○명랑해전

선조 30년(1597) 음력 9월 16일 정유재란 때 조선 수군이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울돌목(명량)
해협에서 왜군을 크게 쳐부순 해전. 울돌목은 전남 진도와 해남 화원반도 사이의 수로로 정유재란 때
명량해전의 격전지. 좁은 해협으로 매우 빠른 급류가 흐르고 조류가 갑자기 변하기도 함. 격류가
부딪혀 우레 같은 소리를 내기 때문에 명량 또는 울돌목이라 함. 이런 지형을 이용해 이순신 장군은
10여척의 배로 왜선 130여척을 격파해 명랑대첩을 거둠. 수적인 열세를 적군에게 보이지 않기 위해
주민들이 바닷가에서 손을 잡고 돌며 아군이 많아 보이게 했다는 강강수월래의 기원이 있는 곳.
충무사의 명량대첩비는 숙종 14년(1688) 전라우수영에 건립. 일제강점기인 1942년에는 명량대첩비를
강제로 뜯어다 경복궁 근정전 뒤뜰에 숨김.

 

 



첫째날은 추사체와 동국진체를 다시 되새기며 개성은 틀린 것이 아니라 다름을 깨닫는 시간이었으며
백호대살해라는 격변의 시기에 "명량"영화에서 기억에 남는 그 유명한 대사가 정신을 번쩍 깨운다.

 

이순신은 단 12척의 배만 남은 불리한 상황에서도 이길 수 있다고 굳게 믿었다.
이에 그의 아들 이회가 "어떻게 하면 우리가 이길 수 있겠습니까"라고 묻자
이순신은 "두려움을 용기로 바꿀 있다면 충분히 이길 수 있다"고 답했다.


 
"독버섯처럼 퍼진 두려움이 문제지, 만일 그 두려움을 용기로 바꿀 수만 있다면
그 용기는 백배 천배, 큰 용기로 배가 되어 나타날 것이다"는 이순신의 말은

을미년 백호대살해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고뇌하는 이순신장군 상 앞에서 한참 그 의미를 되새긴다.

 

.............

.............,

 

진도유스호스텔에서 저녁 식사 후 진도 울금막걸리를 마신 후 숙박하였다.

 

 

━━━━━━━━━━━━━━━━━━━━━━━━━━━━━━━━━━━━━━━━━━━━━━━━━━━━━


달리는 바람처럼, 흐르는 물처럼
어진 산처럼,방랑의 은빛 달처럼

+ Recent posts